티스토리 뷰

케이블, 위성 방송의 특징


1. 채널 용량의 증가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무엇보다도 채널 용량이 풍부하다. 지상파의 10배 가량인 100개 내외의 채널 운영이 가능하다. 전파의 희소성이라는 제약 때문에 일정한 채널만을 허용할 수밖에 없는 지상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풍부한 채널 용량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공급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됬다. 다양한 프로그램 공급은 시청자 세분화로 이어진다. 지상파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케이블과 위성은 특정 집단을 겨냥한 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다. 지상파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이라 할 수 있다.


2. 협송에 의한 전문 편성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특정 시청자를 대상으로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제공하는 '협송'이란 개념이 더 어울린다. 협송은 특정계층을 위한 특화된 프로그램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전문 편성이라고 일컫는다. 특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자신들의 특정한 욕구와 필요에 따른 채널을 선택하여 우너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뉴스나 시사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채널을 비롯해 학생 등 특정 계층의 교육을 전담하는 교육 채널, 스포츠나 레저가 주종을 이루는 채널, 드라마나 영화를 중심으로 한 채널, 행정이나 극회 의정 활동만을 보여주는 채널 등 세분화된 시청자를 대상으로 전문 방송을 하고 있다. 지상판 방송은 현실적으로 어느 일정한 범위 내의 시청자를 소구 대상으로 하지만, 케이블과 위성 방송응 다양한 계층(특정 지역, 특정 종교, 어린이, 청소년, 여성 등)의 시청 욕구를 해결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3. 채널 간의 상호 보완


케이블과 위성방송은 단일 채널이 아닌 다수의 채널이 조화를 이룬 집합체적 방송서비스이다. 여러 개의 채널을 운영하는 만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상호보완적으로 구성, 운영해야 한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하나의 채널로는 시청자의 다양한 욕구를 채워줄 수 없다. 시청자가 선호하고 기대하는 프로그램이 지상파처럼 한 채널에서 종합적으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각기 다른 장르로 특화된 채널들이 균형을 맞도록 구성해야 한다. 드라마, 뉴스, 영화 등의 각 장르를 조화있게 적절히 배분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 채널이 상호 보완하여 프로그램 공급 면에서 다양한 장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채널내 프로그램 편성도 중요하지만, 전체 채널에서 제시되는 프로그램 간의 균형도 중요하다.


4. 지역주의의 강화


지상파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지역 사회에 집중할 수 없다. 그러나 케이블 방송은 출범 초기부터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지역의 각종 문화 행사와 공지 사항을 전달하고 지역사회와 주민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한다. 지역 주민 간의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사회의 정보를 제공하고 지방 의회 진행 과전의 중계와 각종 지역사회 선거 방송을 실시함으로써 지방 자치에 필요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5. 경영수지 강화와 가입자 확보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윤 극대화를 통해 경영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입자를 크게 늘려야 한다. 따라서 가입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소구할수 있도록 편성 수단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과 위성 방송 서비스는 가입이라는 선제 행위를 통해 제공된다. 이런 까닭에 가입자의 만족도를 채워줄 수 있는 프로그램 공급이라는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의 편성 방향


케이블과 위성 방송에서 편성은 가능한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양질의 프로그램을 균형적으로 제공하며, 각 채널의 인지도를 향상시킨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지상파와 차별화되는 매체 특성이 강조되도록 편성 방향을 잡아야 한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의 우선적 편성 전략은 채널별 전문화된 편성이다. 다수의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간대별로 배치하는 지상파와 달리 내용별, 대상별로 세분화, 전문화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상호보완적 편성 전략을 들 수 있다. 각기 전문화된 채널들에 의한 다른 내용의 프로그램들이 상호 보완되어 전체적으로 종합된 내용의 프로그램을 전달할 수 있게 해야한다. 또한 순환 편성이 되어야한다. 같은 프로그램을 여러 차례 시간과 일자를 달리하여 순환시켜 반복해서 보여줌으로써 특정 영역에 관심을 갖는 시청자에게 도달되게 하여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이밖에 서비스 담당지역과 밀착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 시청자들과 밀착된 지역 채널로서의 위상을 정립토록 한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지상파처럼 채널 내의 다양하고 뚜렷이 제시될 수 있는 편성 전략이 적용되지 않는다. 지상파보다는 편성 문제에서 부담이 적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우선적으로 채널간의 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채널들이 특성화되어 있어 겨냥하는 타깃 층이 상이하기 때문에 경쟁의 의미가 희석된다. 케이블과 위성 방송은 또한 시청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준해야 하는 규격적 편성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편성 방향을 고려하는데 감안해야 할 사항들이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